이클립스에 SVN을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깃을 연결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jwgye/project.git
이러한 주소와 같이 개인 깃허브 주소가 있으면 가능합니다.
깃허브 주소가 없을 경우 이전에 작성한 포스트에서 만드시면 됩니다.
2016/01/01 - [Develop/Tool] - [Github 연동] Github(깃허브) 가입하기
STS 의 경우 Git 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없을 경우 Egit을 마켓에서 설치하시기 바랍니다.
Perspective 에서 Git 을 선택합니다.
Git 에 들어가시면 3개의 항목이 있습니다. 이중에 Clone a Git repository 를 선택합니다.
2개의 메뉴 중 Clone URI 를 선택합니다.
개인의 깃허브 URI 와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해줍니다. port는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.
기본 Branch인 master를 선택합니다.
깃이 연동될 디렉토리를 선택해줍니다.
보통 SVN과는 다르게 Local의 파일에 commit을 한 뒤에 git 에 push하여 다시 한번 update를 하게됩니다.
local 의 저장소 지정하신다고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.
깃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면 아래처럼 세팅이 됩니다.
깃세팅이 끝났으니 이제 개발된 소스 또는 개발 시작하려는 소스를 업로드하면됩니다.
업로드 하려는 프로젝트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Team -> Share Project 를 선택합니다.
Local 저장소를 선택하시고 단순히 Finish를 누르면 Local의 저장소와 함께 동기화가 됩니다.
실제로 깃에 올라간 것은 아니며 깃에 올리기 전 Local 의 저장소에 Commit을 한 뒤에 Update가 가능합니다.
프로젝트에 Add to Index 를 선택하면 프로젝트 파일에 있던 물음표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.
그런 후 Commit 을 해준다.
Commit 을 실행하면 commit 할 대상과 함께 메세지를 남길 수 있다.
Commit 을 누르면 Local 저장소와 싱크만 맞추며 Commit and Push를 선택하면 Github에 소스가 업로드가 된다.
github에 push 할 때 정보를 확인 한 후 OK 버튼을 누르면 실제 github에 올라가게된다.
깃허브 사이트에서 올라간 소스를 확인 할 수 있다.
'Develop > T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HTTrack Website Copier (웹페이지 전체 저장하기) (1) | 2016.03.07 |
---|---|
[Github 연동] Github(깃허브) 가입하기 (0) | 2016.01.01 |
HttpWatch (Web Monitoring) 프로그램 소개 (0) | 2015.11.26 |